KLAYswap (클레이스왑) : Open Source, Non-custodial Instant Swap Protocol
KLAYswap extends the Klaytn DeFi ecosystem through liquidity pool-based KLAY, ETH, WBTC, USDT, ORC instant token swapping and liquidity mining.
klayswap.com
클레이튼스왑에서 연 이자 3.18%에 20년11월 18일 평단 502원 기준 클레이튼 2,191개 예치시 연 326.89의 KSP를 배당받을 수 있다고 공지했다.
장기적으로 봤을 때 아니 단기적으로 봤을 때도 카카오가 천재지변으로 망하지 않는이상 클레이튼에 투자하는 것을 괜찮은 판단인 것 같다.
클레이튼으로 KSP를 이자로 받고 싶다면 4단계+1단계 거쳐야 한다.
KLAYSTATION
클레이스테이션은 스테이킹 서비스를 지원하는 공식 툴입니다.
klaystation.io
1. 거래소에서 클레이튼을 구매하여 (코인원 기준 출금 수수료 클레이튼 10개 = 현재 시세 5,000원)
2. 카이카스 지갑이나, 카카오톡에서 클립 지갑을 설치하고
3. 지갑에 클레이튼을 이체 한후
4. 클레이스테이션에서 갖고 있는 50% 정도를 남기고 스테이킹하면된다. (나머지 50%는 마지막 1단계에서 사용)
5. 클레이스테이션에 예치하면 20년 11월 기준 연 6.78%의 클레이튼을 연이자로 지급된다.
주의 할점은 스테이킹 후 언스테이킹 하는데에 7일이 걸린다. 그러니 돈을 급하게 출금해야할 상황이 생길 수 있다면
sKLAY가 아닌 클레이튼을 출금하고자 할 때 답답한 상황에 놓일 수 있다. 그리고 스테이킹 하기 전 본인의 지갑에 아주
소량의 출금 수수료가 필요하므로 1개 정도의 클레이튼은 지갑에 남겨 놓아야한다. 만약 100% 스테이킹 하는 실수를 저
질렀다면 수수료가 없어 언스테이킹을 못할 수도 있다. 이렇게 되면 불필요한 돈을 써서 거래소에서 수수료를 매수하여
지갑에 보내야하는 번거로운 일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해야한다.
대시보드에서 sKLAY를 선택하면 예치한 클레이튼의 약 97% 만큼의 sKLAY를 바로 출금 할 수 있다.
마지막 1단계로 출금한 sKLAY를 클레이스왑에 남아 있는 클레이튼과 함께 예치하면 KSP를 배당 받을 수 있다. KSP 발행
량은 126,144,000개로 상당히 적은 수량이므로 이후에는 클레이튼 코인 보다 가격이 더 오를 수도 있을 것 같다.
'코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플 가격 오른 이유 (0) | 2020.11.27 |
---|---|
클레이튼 차트 분석 (0) | 2020.11.27 |
[투자일기] 20/10/26 HUNT 매수 평단가 58.4 (0) | 2020.10.26 |
[투자일기] 20/10/26 EOS 매도 평단가 3,045 차익실현 (0) | 2020.10.26 |
[투자일기] 20/10/24 EOS 구매 평단가 2,985 (0) | 2020.10.25 |